창업보육센터, 창업의 꿈과 열정을 꽃피우는 메카
청년실업해소와 일자리창출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경상북도는 창조경제의 주역인 중소기업이 활성화되고 새로운 기업이 끊임없이 탄생하도록 창조경제의 추진동력을 강화하며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이 창업으로 이어지는 대학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도내 우수한 창업보육센터를 선정, 지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4월부터 도내 25개 센터 중 평가에 참여한 21개 센터의 운영실태를 종합평가하여 경영실적이 우수한 13개 센터를 ‘2013 우수창업보육센터’로 선정했다.
최우수센터로는 대구가톨릭대창업보육센터, 우수센터로는 각 권역별로 포항공대(동부권), 영진전문대(서부권), 경일대(남부권), 안동대(북부권)가, 장려센터로는 동국대(경주캠퍼스), 금오공과대, 구미시, 대구대, 영남대, 문경대, 안동과학대, 경북도립대창업보육센터가 수상하게 되었다.
상사업비는 3억원으로 최우수 6천만원, 우수 각 3천만원, 장려 각 1천5백만원의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시상금은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의 경영, 기술지원, 창업보육환경 인프라 구축으로 활용하게 된다.
최우수센터로 선정된 대구가톨릭대 창업보육센터는 입주기업의 연매출액이 70억9천8백만원으로 전년대비 21% 이상의 매출신장을 보이고 있다. 특허 등 지적재산권 37건으로 벤처창업의 산실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으며, 중기청으로부터 농·공·상 융합기업 특화보육센터로 지정받아 중소·벤처기업의 창업촉진 및 지역 경제 활성화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내 창업보육센터는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시설 확보 등의 어려움이 있는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초기 기업에게 사업공간 제공 및 경영 기술지도와 정보제공 등으로 안정적인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중소·벤처기업 육성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경상북도내에는 25개 창업보육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433개 입주기업의 분야별 특성을 살펴보면 전기, 전자, 컴퓨터 등 첨단벤처업체와 바이오환경산업, 한방바이오, 생물농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수한 창업보육센터 선정과정에서 창업환경이나 지리적 여건 등 상대적으로 취약한 북부지역의 센터 실정을 감안해 경북을 4개 권역별로 나누었다. 이에 따라 우수센터 1개, 장려 1개씩 선정하는 평가방식을 적용한 결과, 열악한 북부지역 창업보육센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권역 내 센터간의 선의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지역적으로 골고루 성장 발전해나가는 발판이 마련됐다.
또한 여성기업, 창업성공기업의 지역내 유치실적에 가점을 부여하여 창업의 성공이 곧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연계 될 수 있도록 했다.
경상북도 한상균 신성장산업과장은 “‘국민행복 희망의 새시대’라는 국정비전에 발맞추어 일자리중심의 창조경제 주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창업보육센터의 역할을 강화시켜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