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석포제련소 통합환경허가 불허하라"... 영남 50여개 환경단체 기자회견
오는 31일까지 결정 앞두고 폐쇄 촉구
[안동=안동] 오는 31일까지 (주)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환경부의 '통합환경허가' 여부 결정을 앞두고 안동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해 영남지역 50여개 단체로 이루어진 영풍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피해 공동대책위원회(이하 낙동강네트워크)가 기자회견을 열었다.
낙동강네트워크는 지난 14일 오전 11시 세종시 환경부 청사 앞에서 "환경부는 범죄기업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통합환경허가 불허하라. 범죄기업 퇴출이 공정과 상식이다"며 석포제련소 폐쇄를 촉구했다.
통합환경허가는 폐수, 대기, 소음, 악취 등 각 오염별로 허가·관리해 오던 배출시설 관리를 오염물질를 배출하는 사업장 단위로 묶어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허가 제도를 일컫는다. 환경부의 이번 결정은 석포제련소의 공장 폐쇄까지 고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견에서 이들은 "52년 동안 낙동강 최상류에서 온갖 위·불법행위와 제련소에서 나오는 유독물질은 주변 산천을 황폐화함은 물론 주민건강까지 위협하고 1,300만 명 영남인들이 식수로 사용하는 낙동강을 카드뮴과 중금속이 흐르는 강으로 만들어 버린 영풍석포 제련소에 대한 존폐문제를 결정하게 된다"며 "정부와 환경부는 더 이상 범죄기업으로 인해 국민들을 갈등과 불안으로 몰아넣지 않도록 영풍 석포제련소의 ‘통합환경허가’를 불허하여 사람과 뭇 생명이 살아갈 수 있는 낙동강으로 만들기를 촉구한다."고 했다.
이들에 따르면 환경부가 지난 5년동안 제련소 주변에 대한 환경파괴와 오염을 조사한 결과 석포제련소가 환경문제를 야기시킨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제련소에서 근무하던 고 최재환 씨는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카드뮴 과다 중독 판정을 받고 이따이 이따이병으로 지난 2001년 사망하기도 했다. 석포제련소에서 나오는 카드뮴이 제련소 노동자와 주민의 건강을 해침은 물론, 주변 농작물과 하류 하천과 안동댐 물고기에서도 나오고 있음이 밝혀졌다.
낙동강네트워크는 "3공장 불법 건축, 대기 측정치 조작, 카드뮴 고의유출, 환경 범죄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과징금 281억 등 불법을 밥 먹듯 하면서도 조업정지 행정처분과 각종 과징금 처분에는 대형 로펌을 이용해 소송으로 일관하면서 한 번도 우리 사회에 반성을 한 적이 없다"며 "대한민국이 세계 경제 10위권 경제 대국이라고 자랑할 것이 아니라, 반세기 동안 경제라는 탈을 쓰고 기업의 사적 이익을 위해 제련소 주변 주민과 하류 1,300만 국민의 건강을 볼모로 잡아왔던 후진적인 기업구조를 바꾸는 것이야말로 공정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이자 지속가능한 사회로 가는 길"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