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파워-업 행복 프로젝트!
자녀세대 성장, 위기가정증가, 정체성 교육 필요성 대두
경상북도는 다문화가족의 다양한 복지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다문화가족의 역량을 강화하여 사회발전의 동력이 되도록 하기 위해, 기존 양적 확대 정책에서 맞춤형 교육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 6개 중점과제에 총 129억원(지난해 대비 3%증가)의 예산을 투입, ‘다문화가족 파워-업 행복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추진하게 된 배경은 현재 국내 체류 외국인이 141만명, 결혼이민자 27만명이며, 도내 결혼이민자는 11,067명(2006년 대비 3.9배), 자녀도 10,251명(2006년 대비 6.5배)으로 매년 1천명 이상 증가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 전반에 다문화가족에 대한 수용성이 부족하고, 자녀세대 성장, 이혼, 사별 등 위기가정 증가, 부정적 인식 확산 등으로 사회 갈등 및 통합문제가 전면화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정책 수요에 대응하고, 맞춤형 교육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2013년 중점 추진내용으로는 자녀 건전육성 및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강화의 일환으로, 경북형 다문화교육 컨텐츠 개발, 다문화자녀의 기초학습능력 및 이중언어 교육 강화, 다문화자녀의 기초학습능력 및 이중언어 교육 강화 등의 노력을 할 계획이다.
이어 다문화가족 정체성 확립 교육으로, 다문화가족 우리 역사·문화 바로 알기 체험교육, 다문화가족 국가관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한 안보체험 교육을 비롯해, 이민여성을 모국 새마을운동 전도사로 활용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다문화 인식개선 교육 및 문화 다양성 확대로, 찾아가는 ‘多행복 프로그램’ 운영 확대(238개 읍면→331읍면동), 쌍방향 문화 이해 제고를 위한 문화 다양성 확대와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를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다문화가족 지원체계 정비 및 운영 내실화로는, 전 시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설치에 따른 운영의 내실화, 다문화가족 실태조사(11,067 전 가구), 이주여성 전용 쉼터 운영지원으로 인권 보호 강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또 다문화가족 맞춤형 일자리 창출 및 사회참여 확대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인력 증원(전담 코디네이터, 언어발달지도사, 이중언어강사 등), 결혼이민여성 자격증 취득 및 창업모델 발굴, 결혼이민여성 대학 학위 취득 지원(83명 지원), 결혼이민여성 운전면허증 취득지원 등으로 이민여성들의 사회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가정생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밖에 결혼이민자 사회적응기반 강화로 안정적 정착 지원을 위해, 우리말 공부방을 무지개 학당으로 확대 운영, 1社 1서포터즈 구성 운영, 다문화가족 나눔 봉사단 운영 활성화(23개 봉사단, 587명), 다문화가족 특화프로그램 확대 지원(23개 시군, 시군별 28백만원), 결혼이민여성 무료건강검진 지원(23개 시군, 41개 병원) 등으로 이들을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다문화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정책의 내실화를 기하지 않고는 미래 다문화사회에 대비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다문화 파워-업 행복 프로젝트를 새롭게 마련, 추진하게 되었다”고 강조했다.
또 “다문화가족 특성을 고려한 지역중심, 현장중심, 세심한 정책을 개발 추진하고, 부족한 복지예산은 민간복지자원을 적극 개발하여 지원해나갈 계획이다”며, 아울러 “앞으로 다문화정책 방향은, ‘공존’과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진정한 다문화사회’를 만들어, 다문화가족이 진정으로 행복한 경상북도를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