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민 '숙의토론조사' 생략키로... 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 결정
상태바
시·도민 '숙의토론조사' 생략키로... 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 결정
  • 권기상 기자
  • 승인 2021.03.19 10: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와 관심 미흡, 여론의 대립 심화, 균열 확산 조짐 등
▲대구경북행정통합 권역별 대토론회 '북부권'(사진: 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홈페이지)
▲대구경북행정통합 권역별 대토론회 '북부권'(사진: 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홈페이지)

[경북=안동뉴스] 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아래 공론화위)가 대구경북 행정통합의 추진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판단기준으로 알려진 숙의토론조사를 생략하기 했다.

지난 18일 공론화위는 오전 9시부터 전체 회의를 열고 위원회 일정 마무리 계획을 결정하고 내용을 공개했다.

이날 공론화위는 "코로나19로 인한 숙의 과정의 제약, 지역사회의 관심 미흡,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찬반 여론의 대립 심화, 정치사회로 균열 확산 조짐 등으로 숙의토론조사 결과의 수용성과 공감도, 그리고 효능성이 낮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며 "처음 계획했던 숙의토론조사는 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초 공론화위는 4차례의 권역별 토론회와 여론조사, 빅데이터 조사, 시·도민 500명이 참가하는 학습토론조사 등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공론화위는 이를 대신해 ▲3회의 온라인 토론에서 나타난 시도민의 의견, ▲ 4회의 권역별 토론에서 나타난 각종 의견그룹의 반응, ▲ 2회의 여론조사, ▲ 빅 데이터, ▲ 다양한 매스미디어, ▲ SNS에 나타난 시도민의 선호 분석, ▲ 기타 방법 등으로 행정통합에 대한 시도민의 판단을 정리해 4월 중으로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에게 의견을 제출할 계획이다. 

제출될 의견에는 그동안 작성한 대구경북행정통합 기본계획(안)과 대구경북 시도민들의 판단 분석 결과, 그리고 이에 대한 위원회의 종합 의견도 포함될 예정이다.

공론화위는 "행정통합에 대한 시도민의 뜻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행정통합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추진위원회와 다르다"고 강조하며 "지금까지 위원회는 ‘과제발견형’ 공론을 진행했으나 지금부터는 ‘의사결정형’ 공론을 할 계획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행정통합에 대한 시도민의 판단을 확인하려고 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