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언론에서 문제가 제기된 안동댐과 임하댐 연결 수로 공사로 인한 임하댐 토착어종에 대한 피해 및 생태교란 우려에 대해 안동시의회(의장 김근환)가 안동댐과 임하댐간 수로 연결에 따른 사전 환경성 검토를 시민대표가 참여한 가운데 재실시 할 것과 시민이 납득할 만한 근본적인 대책이 있기까지 양 댐 간의 연결 수로 공사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안동시의회는 25일 오후2시 제156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안동댐-임하댐 도수로 공사 중단 촉구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촉구 건의안에는 안동시민은 안동댐과 임하댐 건설로 인한 각종 규제와 안개, 생태계 변화 등으로 엄청난 피해를 받고 있음에도 수자원공사에서는 이러한 안동시민의 피해는 외면한 채 충분한 환경성 검토를 거치지 않고 안동댐과 임하댐을 연결하는 도수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임하댐에는 안동댐과 달리 외래 어종인 배스와 블루길 등이 전혀 발견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양 댐 간에 수로가 연결된다면 임하댐의 토착어종의 피해 등 극심한 생태계 파괴를 피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번 건의안을 발의한 김한규 의원(남선, 임하, 길안, 임동)은 "사전 환경성검토 조사 교수조차 조사시기가 3월이어서 대부분 사전에 조사된 문헌자료를 기초로 검토의견서를 냈다고 할 정도로 신뢰성에 의문이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건의안을 공동으로 발의한 권기익 의원(남선, 임하, 길안, 임동)은“최근 언론보도에 따르면 수자원공사에서 양 댐 간 도수터널에 전기스크린을 설치하여 어류의 왕래를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것은 수자원공사가 스스로 임하댐에 외래어종이 서식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라며 수자원공사는 우리 시민들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시의회는 이번 건의안을 환경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 한국수자원공사, 국회 등에 제출한다.
토종어류 보존 위한 안동댐-임하댐 도수로 공사 중단 촉구 건의안
안동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안동․임하 두 개의 댐이 있어 수많은 인구가 고향을 떠났으며 남아 있는 주민들도 댐으로 인한 규제와 안개 피해 등 유 무형의 엄청난 피해를 당하고 있다.
게다가 임하댐의 경우에는 지난 2002년 이래 지속된 탁수 현상으로 댐 내 안동시민 식수원 오염, 댐 내 생태계 파괴로 인한 어종 감소 등으로 이중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잘 아는 바처럼 안동댐과 임하댐 건설로 인해 안동지역 하천의 수중 생태계는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변화되었으며 이로 인한 피해 또한 산술적으로 표시하기 곤란할 정도로 엄청나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수자원공사에서는 안동시민의 피해는 아랑곳하지 않은 채 충분한 환경성 검토를 거치지 않은 채 안동댐과 임하댐을 연결하는 도수로 공사를 진행해 오고 있다.
안동댐과 달리 임하댐에는 외래 어종인 배스와 블루길 등이 전혀 발견되지 않음에도 만일 도수로 공사를 강행한다면 임하댐의 극심한 생태계 파괴는 피할 수 없는 일이 될 것이다.
더욱이 언론에 따르면 사전환경성검토 조사 교수조차 “조사시기가 3월이어서 대부분 사전에 조사된 문헌자료를 기초로 검토의견서를 냈다”고 할 정도로 신뢰성에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현재 임하댐에서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어부들과 임하토종어류보존협회에 따르면 임하호에서는 외래어종을 한 번도 발견한 적이 없다는 증언을 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보도에 따르면 수자원공사가 도수터널에 물고기들의 이동을 차단하는 ‘전기스크린 설치’를 검토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는 수자원공사 스스로 임하댐에는 외래어종이 서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한 결과로서 그럼에도 검증되지 않은 방법을 사용한다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정부에서는 안동에 처음 댐을 건설할 때부터 피해가 전혀 없다고 했지만 현재까지 그러한 약속은 한 번도 지켜지지 않은 상태로서 수자원공사의 어떤 약속도 믿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따라서 수자원공사에서는 토종어류 보존을 위하여 모든 시민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을 강구하여 제시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 건의한다.
1.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조치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안동댐-임하댐 도수로 공사를 즉각 중단하라.
1. ‘전기 스크린 설치’ 등 정도를 벗어난 조치는 시민의 분노만 촉발하는 만큼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하라.
1. 부실한 사전환경성 검토를 백지화하고 시민대표단 참여하에 환경성검토를 전면 재실시하라.
2013. 7. 안 동 시 의 회 의 원 일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