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댐, 전구역 녹조로 '몸살'... 조류경보제 '경계' 단계
상태바
안동댐, 전구역 녹조로 '몸살'... 조류경보제 '경계' 단계
  • 권기상 기자
  • 승인 2023.08.23 16: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댐 축조 이래 52k㎡ 호수 전역 발생은 처음
안동환경연, "물놀이나 스포츠 활동 등 통제해야"
▲안동댐 상류인 도산면 선성현문화단지의 수상데크길이 녹조위에 떠 있다.(사진 권기상 기자)
▲안동댐 상류인 도산면 선성현문화단지의 수상데크길이 녹조위에 떠 있다.(사진 권기상 기자)

[안동=안동뉴스] 지난 집중호우와 제6호 태풍 카눈 이후 안동댐이 전수역에 걸쳐 대규모 녹조가 발생해 몸살을 앓고 있다.

23일 오후 안동시 와룡면 예안교 인근 댐 수역에는 물감을 풀어 놓은 듯 진한녹색으로 변해 있었다. 현재 댐에는 상류지역 외에도 와룡면, 석동 등 하류지역까지 호수 전체로 녹조가 확산된 상태로 알려졌다.

녹조는 남조류의 대량 증식으로 물색이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녹조의 먹이가 되는 인·질산을 포함한 오염 물질과 높은 수온, 강한 햇볕, 체류 시간 등 네 가지가 만나 생성된다. 남조류 중 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배나, 오실라토리아, 아파니조메논 등 4종은 냄새 물질과 독소물질을 배출해 유해남조류로 분류된다.

안동댐에는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남조류 세포수(cells/㎖)가 크게 늘었다. 한국수자원공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중순부터 안동댐 상류부터 본댐 앞까지 녹조량이 크게 발생해 1만cells/㎖를 초과해 조류경보제 4단계 중 세번째인 경계 단계다.

▲안동댐 녹조가 부유물과 함께 오염원으로 변하고 있다.(사진 권기상 기자)
▲안동댐 녹조가 부유물과 함께 오염원으로 변하고 있다.(사진 권기상 기자)

특히 태풍 카눈 이후 지난 14일 기준 댐 상류 예안교 부근에서 채취한 유해남조류는 ㎖당 9만4095개로 측정됐다. 지난달 말 기준 5만5008개에서 3만개 정도 더 늘었고, 지난해 같은 기간 3만3376개에 비하면 3배쯤 늘어난 수치다.

녹조가 호수 전역으로 확산되자 수자원공사는 수질 관리에 나섰다. 수자원공사 안동권지사는 녹조제거선박을 긴급 투입하기로 했다. 또 녹조가 심한 지역에 녹조수차와 나노버블 등 녹조 파괴장치와 자율주행 녹조로봇(에코봇), 수상드론까지 동원해 녹조 제거에 나서기로 했다.

안동권지사 관계자는 “1976년 댐 축조 이래 52k㎡ 호수 전역에서 녹조가 발생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폭우와 태풍 등으로 녹조를 유발할 수 있는 많은 영양염류가 호수로 유입된데다 지속된 폭염이 녹조가 확산된 원인”이라고 했다.

안동환경운동연합 김수동 대표는 "외국에서는 녹조에서 발생하는 독소가 인체의 간·생식·신경계 독성으로 영향을 미쳐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에 에어로졸 검사를 통해 일정량 이상이 검출되면 물놀이나 스포츠 활동 등을 통제하고 있다"며 "최근 기후 이상기온으로 녹조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만큼 우리나라도 외국의 사례를 따르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오마이뉴스에도 실립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