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에서 근대까지 시간을 넘어 어린이의 역사를 만나다
상태바
조선에서 근대까지 시간을 넘어 어린이의 역사를 만나다
  • 권기상 기자
  • 승인 2025.04.30 15: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 5월 가정의 달 맞아 정기기획전 어화동동童童 개최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2025429일부터 727일까지 정기기획전 <어화동동>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조선시대 아동을 지칭하던 동몽童蒙에서부터 방정환 선생이 주창한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우리 역사 속에서 아동이 어떻게 인식되고 성장해 왔는지를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1: 무병장수 복을 빌며>, <2: 유아에서 동몽으로>, <3: 동몽에서 어린이로> 3부로 구성되었다. <1: 무병장수 복을 빌며>에서는 임산부의 태교 교습서인 태교신기부터, 아기의 탄생을 축복하고 아이의 올바른 성장을 빌면서 천 명의 사람들이 한 글자씩 적어 만든 천인천자문, 손주에 대한 애틋함이 담긴 할아버지의 편지 등 아이가 무탈하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긴 자료를 소개한다. <2: 유아에서 동몽으로>에서는 아동교육과 관련한 자료를 소개한다. 특히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청소년인 류의목이 청소년기에 썼던 일기인 하와일록이 전시되며, 할아버지가 손자들을 가르치는 격대교육을 보여주는 자료인 경당일기해주일록도 전시된다. <3: 동몽에서 어린이로>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어린이날을 제정하여 어린이를 인격적 독립체로 인정한 방정환 관련 자료들과 국내외 아동인권선언 자료들도 소개한다.

어린이는 오늘날을 사는 우리의 거울이자 미래다. 조선시대에는 어린 이를 보호하고, 아이가 올바른 어른이 될 수 있도록 가족과 사회가 정성을 기울였다. 조선시대 아이에게는 단순히 지식을 많이 쌓고 더 많은 부를 얻는 방법을 가르치지 않았다. 스스로 생각하여 자신의 몸과 마음을 갈고닦아 도덕적 완성을 이루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사람이 되도록 가르쳤다.

정종섭 한국국학진흥원장은 모든 어른은 어린이였기에, 이번 전시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과거 조상들이 아이를 귀하게 여기고 올바르게 키우고자 했던 마음을 되돌아보는 동시에, 오늘날 어린이들이 행복하게 살아갈 미래를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