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손길 나누는 곰돌이 봉사대
상태바
사랑의 손길 나누는 곰돌이 봉사대
  • 오경숙 기자
  • 승인 2012.10.05 14: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기간 중 노인·장애인 수송, 식사대접

안동의 대축제 탈춤페스티벌이 9월 27일 성대한 개막식을 시작으로 다음달 7일까지 숨 가쁜 행사일정 열흘간의 축제를 마무리하는 가운데 묵묵히 15년째 변함없는 사랑의 밥 식사 한 끼를 대접하는 곰돌이 차량봉사대가 있다.

 
안동장애인협회 곰돌이 차량봉사대(회장 전구룡)는 탈춤페스티벌이 처음 시작된 1997년부터 15년이 지난 지금까지 실내체육관 주차장 한켠에 비가림 천막을 두르고 노인, 장애인, 그 가족들을 위해 축제기간 열흘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사랑의 손길을 나누고 있다.

1987년 발대식을 시작으로 장애인 비장애인 5,127명의 회원들로 구성되어 있는 곰돌이 차량봉사대는 우리나라 최대명절 추석이나 새해, 시민들 대이동으로 인한 불편을 겪는 장애인 노인들을 수송하고, 지역에서 열리는 다채로운 행사와 단체 활동에 이동이 필요로 하는 곳을 찾아 교통수단이 되어주고 있다.

탈춤페스티벌 또한 몸이 불편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축제기간 찾아오기 힘든 장애인들을 위해 축제가 처음 시작 되던 해 장애인, 노인 그 가족들을 모시고 이곳 축제장으로 수송하기 시작했으며, 쉽사리 식사를 마음껏 할 수 있는 곳이 마땅치 않아 식사를 대접하기 시작했다.

 
첫 해 안동시로부터 50만원 이라는 예산을 지원받아 시작된 음식봉사는 하루 200백 명 정도 찾던 사람이 이제는 300백 명가량 이곳에서 식사를 하고 있다. 축제가 처음 시작된던해 부터 15년 지난 곰돌이 차량봉사대는 안동시로부터 3~4년에 한번씩 50만원씩 증액된 현재 400백만 원이라는 예산을 받고 봉사를 하고 있다.

봉사 관계자는 “탈출페스티벌 기간 동안 하루에 이곳을 찾는 사람은 300명이 넘는다. 식 재료비만 1천 500백만 원이 훌쩍 넘어 감당하기가 사실은 어렵다” 며 “그렇다고 찾아오는 분들을 다시 돌려보낼 수는 없어 회원들 가정에서 재료며 음식준비꺼리들을 들고 온다”고 또 “회원들이 십시일반 거둬들인 모금액을 모아 턱없이 부족한 음식 장만에 충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침 안동뉴스 취재기자가 찾아 갔을 때 봉사회원이 갖고 왔다며 집에서 기르던 토종닭을 장만하고 있었다. “적은 양으로 배불리 고기를 대접할 수 없어 그나마 사람들이 많이 먹을 수 있는 닭계장을 준비한다”며 김모씨는 아쉬움을 내비췄다.

곰돌이 차량봉사대는 이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은 자투리 농토를 이용, 겨울철 김장 채소를 재배해 매년 중증장애인, 소녀소년가장 1,000명에게 사랑의 김장김치 나누기 행사를 해오고 있다.

안동장애인협회 곰돌이차량봉사대 전회장은 “전국에 단 한 개의 봉사단체이며, 어려운 장애인들에게 항상 부족한 도움밖에 줄 수 없다며”안타까워 했다. 취재기자가 물었다. “현수막에 적힌 교통장애인협회와 같이 봉사를 하느냐”는 질문에 ” 아 저 현수막은 15년 전에 사용하던 것인데 또 새로 제작할려면 비용이 들기 때문에 그냥 사용한다“며 여운을 남겼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