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가 0세부터 100세까지 건강한 행복도시 조성을 위해 출산장려정책사업 54억원, 건강증진사업 47억원, 공공의료기반시설 확충사업 125억원 등 총 226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시는 올해 출산장려부터 임산부, 유아, 성년, 노년까지 다양한 건강증진사업을 통해 건강한 행복도시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 출산장려정책과 임산부 및 영·유아 건강증진
올해 안동시는 출산장려를 위해 모두 54억원을 투입한다. 첫째 자녀에 월 10만원, 둘째 12만원, 셋째 이후 20만원씩 2년간 지급하며, 인공수정, 체외수정 등 난임부부를 위해서도 2억7백만원을 지원한다.
임산부 지원에도 대폭 투자한다. 산모·신생아 도우미 지원사업에 1억2천3백만원을 포함해 임산부 및 영·유아 관리, 선천성 대사이상·기형아 검사,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등 건강한 아기출산을 위한 지원사업을 편다. 또 임산부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영양교육과 상담, 보충식품 공급 등 영양플러스 사업에도 1억7천만원을 투입한다.
▷ 유아·아동 건강 증진은 예방접종으로
한 사람의 평생 동안의 건강을 가늠할 유아기 건강증진사업은 예방접종에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 올해 예방접종을 위해 수두, 홍역 등 취학아동 예방접종 사업 등에 4억4천3백만원을 투입한다. 또 T-dap 및 일본뇌염 추가접종 등 취학아동을 대상으로 한 예방접종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이 밖에 수두 등 국가필수예방접종을 위한 위탁의료기관에도 7억4천만원의 예방 접종비를 지원해 감염병 예방에 나선다.
생애주기별 구강보건 교육과 검진사업도 함께 편다. 올해 1억8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6~14세 어린이 3,000명을 대상으로 치아 홈메우기와 불소겔 도포 등의 사업을 펴고 특수학교 등을 찾아다니며 구강검진 및 스케일링, 불소도포 등 구강보건교실도 함께 운영한다.
▷ 건강한 삶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조기건강 검진을 통해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난치성 질환자에 대해서는 의료비를 지원하는 등 시민모두가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올해 1억7천2백만원의 예산을 들여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경경부암 등 5대암 검진사업을 펴고 5대암 환자에게도 2억6천만원을 지원한다. 또 만성신부전증 등 134종의 희귀·난치성 질환자 120명에게도 1억4천5백만원을 지원해 경제적 부담을 경감한다.
예방중심의 포괄적 건강사업도 함께 편다. 우선 생애주기별 우선순위를 선정해 9억7천5백만원을 들여 수요자 중심의 통합건강증진사업을 편다. 과거 금연, 절주, 영안, 고혈압, 당뇨 등 17개로 난립되어 추진되던 사업을 건강생활실천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구강, 취약계층 건강관리, 치매, 영양플러스, 모자보건 등 7개 세부사업으로 통합해 효율적인 건강증진사업을 추진한다. 정신건강관리 강화를 위해서도 10억원의 예산을 들여 정신보건센터 운영과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시설 등을 관리한다.
▷ 노령층을 위한 치매관리와 골다공증 예방관리 사업추진
가족해체까지 이어지는 치매조기검진과 관리사업이 적극 추진된다. 노령층 6,000명을 대상으로 치매조기 검진사업을 추진하고 치매상담센터도 운영한다. 치매환자를 위해서도 1억2천3백만원으로 치매치료를 지원하고 공공노인전문요양병원 환자도 지원한다.
급격한 노령화에 따른 골절손상 등의 예방을 위해 400명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무료검진을 시행하고 만성·퇴행성 질환예방 및 치료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또 치약계층 5,390가구를 대상으로 방문간호 전담인력을 확보해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도 함께 펼칠 계획이다.
▷ 공공의료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한 의료기반시설 대폭 확충
도시지역에 비해 의료서비스 수준이 떨어지는 농촌지역과 도시민 건강증진을 위한 의료기반시설이 대폭 확충된다. 농촌지역 의료서비스 수준향상을 위해 모두 11억7천2백만원을 들여 서후면 보건지소와 남후면 보건지소를 신축한다. 1억8천1백만원을 들여 온열 맛사지 등 보건지소 및 진료소를 대상으로 7종의 의료장비도 현대화한다.
건강증진센터는 보건소 부지내의 구 중구동사무소를 철거하여 국비 14억3천1만원의 지원으로 지하1층 지상4층 연면적 1,494㎡규모의 시설로 WHO건강도시의 명성에 걸 맞는 최적의 장소로 질병 없는 쾌적하고 살기 좋은 행복도시 만들기 기반을 조성하게 된다.